새싹일지

0618 새싹일지_<블록체인과 암호화폐> 특강

gamnyam 2024. 6. 18. 10:59

web3.0

메타마스크에서 만든 리포트 내용 참고

 

현재는 web2 상황

 

web3 : 데이터의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돌린다.

ex) bitcoin, steemit

 

운영권한 중앙화의 경우(web 2.0) 개인정보 유출 시 피해가 큼

 

- 블록체인의 역사

 

2009년 사카시 나카모토

2015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사회적 장점

은행에 문제가 생기면 한꺼번에 모든 정보가 사라질 위험.

블록체인에서는 존재하는 모든 계좌의 정보를 모든 참여자가 공유

블록체인에서는 위조가 어려움. 1명이 조작하더라도 999명의 장부와 비교하면 위조 밝힐 수 있음.

999명의 데이터 손실되어도 1명의 장부로 복구 가능

 

블록체인의 신뢰적 장점

신뢰자 중앙집중형 거래 - 공증인(제3자)

폐해 : 공증인이 그런 사실이 없다고 얘기함(리만브라더스 사태)

 

탈중앙화된 공증인 - 여러명의 공증인

 

블록체인의 특징

타임 스탬프(계약기록) : 데이터베이스

합의 알고리즘 + 강력한 암호화 보안 = 스마트 계약 : 네트워크 코딩

기록모두 공개, 모두 열람 가능, 무결성 : 오픈소스

 

돈, 화폐

가상화폐 > 전자화폐 > 암호화폐

가상자산(NFT, Defi)

 

왜 비트코인이 나왔을까?

 

기존 금융 시스템의 문제

하이퍼 인플레이션

화폐 신뢰도 하락(중앙기관의 정책이 자산에 영향을 줌)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개발자 2009년 1월 3일 암호화폐 처음 발행

비트코인을 구현하는 논문 내에 블록을 만들어서 체인으로 연결한다는 설명

 

비트코인은 SHA-256 해시 함수 기반의 작업증명(PoW)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으로 블록을 채굴하여 블록을 연결

 

비트코인 논문 내용

이중지불 문제 방지

거래원장은 네트워크에 공개됨, 모든 노드들이 공유

네트워크의 각 노드들이 거래 원장을 검증할 수 있는 규칙 => 전자서명

 

 

비트코인 최초 블록

제네시스 블록 : 제일 첫번째 블록. 이 블록은 직접 만들어야함

sigscript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다수의 거래 정보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여, 저장된 블록들을 해시 기술을 사용하여 체인 형태로 묶는 저장기술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중앙화된 중개기관이 없더라도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거래와 데이터 처리

 

블록체인 네트워크 설계

P2P

한 노드 = 컴퓨터 한 대

 

거래란 무엇인가

트랙잭션은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

From: A, To:B, Balance : 100 BTC

 

블록이란 무엇인가요?

트랜잭션 여러개를 묶어 블록을 만듦

블록의 정보인 블록헤더와 트랜잭션 데이터 모음으로 구성

 

해시란?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를 가진 데이터(결과값)로 매핑해주는 함수

복호화 불가. 데이터 -> 결과만 가능

무결성 : 데이터 일부 변환시 완전히 다른값 생성

SHA 256 함수 : 비트코인 

Keccak-256 : 이더리움에서 사용

 

복호화가 불가능한데 영국 어쩌구 그 내용인지 어떻게 알았지?

 

체인이란?

최근 생성한 블록은 이전 블록을 해시값을 포함

이전블록의 데이터 현재 데이터에 저장하여 체인형식으로 연결

 

블록헤더

version

previous block hash

merkle root

time stamp : 생성한 시간(생성자가 입력)

bits : 작업 증명 난이도

nonce : 작업 증명의 답(값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값)

 

머클루트란?

해시값이 가장 가까운 거래내역끼리 쌍을 지어 해시화하고 쌍을 지을 수 없을 때 까지 반복했을 때 얻게되는 최종 값

특정 거래내역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함

트랜잭션에 변경사항이 있는지 확인함

 

이 블록을 어떻게 탈중앙화 환경에서 인정하도록 할 것인가?

=> 합의 알고리즘

 

작업증명이란?

비잔틴 장군 문제

정해진 기준에 따라 문제를 풀어 블록을 제안하면, 다른 노드는 이 문제를 풀었다는 것을 십게 검증하고 인정하여(증명) 다음 블록으로 인정하고 블록을 쌓음

 

블록헤더를 주어진 난이도보다 낮은 값으로 만들어야 한다

 

비트코인은 약 2^78

전체 숫자의 범위 0~9 이라고 할 때

주어진 숫자가 7이라면 0~6이 해답의 범위여서 난이도가 낮은 것

주어진 숫자가 2라면 0~1이 해답의 범위여서 난이도가 높은 것

 

0이 많을수록 작은 수

 

난이도 조정

최초 블록 생성 주기는 10분

2016 블록마다 조정. 

 

채굴 보상은 어떻게 획득?(통화발행)

 

새로 발행되는 비트코인과 해당 블록에 포함되는 거래의 거래 수수료의 합

minted + fees

 

halving(반감기)

반감기가 오면 비트코인 가격이 올라감

 

FT(Fungible Token)

대체 가능

 

ERC

이더리움상의 스마트컨트랙트 구현 표준을 설명하는 기술

 

코인과 토큰은 다른 용어

코인 :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자체적인 기술로 발행되는 가치의 통화 단위

BTC, ETH

 

토큰은 이더리움과 같은 일부 블록체인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생성되는 커스텀 화폐

다른 플랫폼 코인 위에서 개별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화폐

 

Coin market cap

토큰인지 코인인지 구분해서 해야햄

토큰은 공식홈페이지 연결, 코인은 계약이라고 써져있음

 

도지코인 - 밈코인

 

디지털 서명 : 일종의 검증 알고리즘. 블록체인에서 디지털 자산의 트랜잭션에 서명하고 승인하는데 사용.

 

해시값을 비밀키로 암호화하면 디지털 서명. 디지털 서명을 공개키로 복호화하면 해시값

 

블록체인 네트워크 단계 설명

 

블록체인 트릴레마

확장성, 탈중앙화, 보안성 세 가지 문제는 한 번에 해결할 수 없음.

 

비트코인 : 블록체인을 이용한 화폐전용시스템

이더리움 : 블록체인을 이용한 플랫폼 (자연친화?)

이오스 : 이더리움과 비슷하지만 속도를 높이고 수수료 없앰

클레이튼 : 속도를 높이고 사용자 친화적으로 수수료를 제공자가 부담하도록함. 탈중앙화 포기하고 서비스 중요시.

                 협약된 기업만 사용 가능 

'새싹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20 새싹일지  (0) 2024.06.20
0619 새싹일지  (0) 2024.06.19
0617 새싹일지  (1) 2024.06.17
0614 새싹일지  (1) 2024.06.14
0613 새싹일지  (0) 2024.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