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 강의 추천 : joonseok lee, 김성범
알고리즘 _ 자료구조
추상 데이터 타입
연속적인 방식
stack : 후입 선출
쌓을 수만 있음
리스트 : 하나씩 위로 쌓이고 pop()으로 뒤에부터 나옴
스택, 큐
stack class 구현해보기
문제 같은 숫자는 싫어
insert() 메서드는 모든 요소가 메모리에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비효율적이다.
-> insert 말고 append를 이용해 추가
데큐(파이썬 모드)
양방향
링크드 리스트
파이썬 리스트 쓰고
뭔가 구현해야하면 데큐가 짱.
재무제표 공부
ROE : 자본 대비 수익률
시가총액
PER : 버는 거에 비해 시가총액 얼마로 할거야? 기업에 대한 기대(PDR)
PBR : 자본 대비 몇 배를 줬
당기순이익 : 주식이 오른것도 포함
EPS : Earinig per share 한 주당 영업이
상장회사(코스피, 코스닥) 비상장회사
자본총계 (Total Equity)
자본총계는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주들이 소유하는 순자산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상태표에서 자산의 자금 조달 측면에서 주주 자본을 나타냅니다.
총자본 (Total Capital)
총자본은 기업이 자산을 취득하고 운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사용한 모든 자본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자본총계(주주 자본)뿐만 아니라 부채(채권자 자본)도 포함됩니다. 총자본은 자산의 자금 조달 측면에서 자본 구조를 분석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공식
- 자본총계(Total Equity) 자본총계=자산총계−부채총계\text{자본총계} = \text{자산총계} - \text{부채총계}
- 총자본(Total Capital) 총자본=자본총계+부채총계\text{총자본} = \text{자본총계} + \text{부채총계} 또는 총자본=유동부채+비유동부채+자본총계\text{총자본} = \text{유동부채} + \text{비유동부채} + \text{자본총계}